사회/사건 US

※오탈자를 발견하시면, hurtfree@gmail.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확인 즉시 수정하겠습니다.
Copyright © newsandpost.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기사/사진/동영상 구입 문의 >>
Tweet
트럼프, SNS에 “‘찰리 커크 법’ 만들어 주세요” 청원 게재
엘리 메이, 체인지닷컴에 온라인 청원 등록…사흘만에 9만여명 서명
“언론사의 책임성 회복시키는 법안 마련 촉구”
“언론사의 책임성 회복시키는 법안 마련 촉구”
기사입력: 2025-09-15 18:07:02
작성자: NNP info@newsandpost.com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아무런 설명 없이 의미심장한 틱톡 영상 하나가 게재돼 눈길을 끌고 있다. 영상에는 한 여성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찰리 커크 법"을 만들어서 수십년간 계속되어온 언론의 프로파간다(선전선동)와 거짓 보도에 대해 기자와 언론사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요청하는 내용이 담겼다. 틱톡에서 @official_elly_may 라는 계정을 운영하고 있는 엘리 메이는 온라인 청원사이트 체인지닷컴에도 트럼프 대통령과 JD 밴스 부통령을 상대로 청원글을 올려놨다. 체인지닷컴에 등록된 글에 따르면, "그(찰리 커크)의 생명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주류 언론이 퍼뜨린 근거 없는 주장 때문에 희생됐다"며 "이러한 주장에는 실질적인 증거가 없었으며, 이는 잘못된 정보다 생명을 얼마나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우리는 미국 국민을 허위 정보의 조작과 유포로부터 보호하는 중추적인 입법안인 스미스-문트법(Smith-Mundt Act)의 재시행을 촉구한다"면서 "그러나 이 새로운 시대에는 이 법이 부활하여 찰리 커크법으로 개칭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미스-문트법은 1948년 제정된 미국 정보 및 교육 교류법으로, 국무부가 해외 청중을 대상으로 제작한 자료를 국내에 배포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았다. 원래 의도는 의회, 언론 및 학계가 국무부가 해외에서 발표한 내용을 국내에 전달하는 필터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엘리 메이는 "이 개정법은 언론 매체, 라디오 방송국, 교육자,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고의적 또는 무책임하게 유포하는 허위 사실과 잘못된 정보에 대한 책임을 묻는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더 나아가, 우리는 정보를 부당하게 검열하는 소셜 미디어 기업에 대한 엄격한 처벌을 제안한다"면서 "각 위반 사항에 대해 회사 가치의 최소 35%에 해당하는 벌금이 부과돼야 한다. 검증 가능한 증거 없이 개인을 편협한 사람, 파시스트, 인종차별주의자로 낙인찍는 것과 같은 근거 없는 비난은 명예를 훼손하고 생명을 위험에 빠뜨린다. 이러한 행위는 용납되어서는 안 되며 엄격한 책임 추궁 조치를 수반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해당 청원에는 15일 오후 5시47분 현재 8만9223명이 서명했으며, 약 5900여명이 후원금을 냈다. 틱톡 영상에서 그녀는 의회가 이같은 법안을 속히 만들고,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해 줄 것을 촉구했다. 홍성구 기자 |
※오탈자를 발견하시면, hurtfree@gmail.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확인 즉시 수정하겠습니다.
Copyright © newsandpost.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기사/사진/동영상 구입 문의 >>
Twee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