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 US

※오탈자를 발견하시면, hurtfree@gmail.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확인 즉시 수정하겠습니다.
Copyright © newsandpost.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기사/사진/동영상 구입 문의 >>
Tweet
주한미군 규모 유지? 내용 들여다보니...
예외 조항 명시…작년엔 없던 전작권 항목 포함시켜
곧 발표될 국방전략(NDS) 보고서에 주목해야
곧 발표될 국방전략(NDS) 보고서에 주목해야
기사입력: 2025-10-22 11:35:02
작성자: NNP info@newsandpost.com

연방 상원이 지난 9일 통과시킨 국방수권법(NDAA)에 주한미군 규모를 2만8,500명으로 유지한다는 내용이 명시됐다는 보도가 전해졌다. 그러나 실제 내용에는 예외 조항이 더 자세하게 제시돼 있어 주목된다. 22일(수) 연방 의회 의안정보시스템에 올라온 NDAA 상원 통과본 전문을 뉴스앤포스트가 검토한 결과, 일차적으로는 주한미군 규모를 줄이는 것과 전시작전통제권을 이양하는데 국방예산을 사용할 수 없다는 항목이 포함됐지만, 2025년 NDAA에는 없었던 예외조항과 전작권 이양 항목이 포함돼 눈길을 끈다.
(b)항에서는 국방부 장관이 주한미군 사령관, 미 인도태평양사령부 사령관, 국무장관 및 국가정보국장과 협의하여 국무부 장관 및 국가정보국장과 협의하여 "미국의 국가 안보 이익에 부합함을 확인"하고 "이러한 조치가 대한민국, 일본 및 유엔군사령부에 군사적 기여를 한 모든 국가를 포함한 미국의 동맹국들과의 적절한 협의 후에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할 경우, 의회 관련 위원회에 인증서를 제출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c)항에서는 구체적으로 "주한미군이 2만8,500명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국방장관은 주한미군 사령관, 미 인도태평양사령부 사령관, 국무부 장관 및 국가정보국장과 협의하여 다음을 포함하는 평가를 실시한다"고 지시하고 있다.
작년 국방수권법에는 없었던 전시작전통제권 이양에 대한 항목이 올해 법안에는 추가돼 눈길을 끌고 있다.
이같은 변화는 결국 예산을 다루는 국방수권법이 아니라 정책을 다루는 "국방전략보고서"(NDS)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라 하겠다. NDS는 국방부(전쟁부)의 전략적 로드맵 역할을 한다. 특히 올해 발표될 NDS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와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라는 의제를 이행하는 데 있어 국방부에 명확한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헤그세스 전쟁부 장관은 지난 5월 2일자로 NDS 개발을 시작하라고 지시하면서 "대통령의 의도에 따라 NDS는 미국 본토, 특히 영공과 국경을 방어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군사적 위협을 억제하는 데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NDS는 10월 중에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연방정부 셧다운 여파로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고 있다. 홍성구 기자 |
※오탈자를 발견하시면, hurtfree@gmail.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확인 즉시 수정하겠습니다.
Copyright © newsandpost.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기사/사진/동영상 구입 문의 >>
Tweet
![]() |
산업/비즈니스

월마트, H-1B 비자 스폰서 채용 더이상 안 한다